• Total : 2330746
  • Today : 1122
  • Yesterday : 966


시론

2009.04.16 21:03

물님 조회 수:1359

시론


현대시는 상징과 은유이다

시만 그런 것인가

빛에 의해 드러나는 이 세계가 모두

시와 같다.

밥상의 반찬들

그들이 나의 입 속에서 속절없이

씹힐 때까지의 과정은 온통 상징이고

하늘의 사랑이다.

하늘 아래 사랑 아닌 것이 있었던가.

그렇다면 하늘아래 시 아닌 것은 또 무엇인가.

시냇물과 바다

개와 고양이

낙엽송과 참나무

그들의 소리를 들어보면

그 속에 창세기도 있고 묵시록도 있다.

사람으로 사는 것도 아니고

익은 열매 같은 죽음으로도 죽지 못하는

이런 세상에서

만물의 영장이 인간이라고

떠들 것도 없다는 말씀도 있다.

만물은 자기 색깔

자기 얼굴로 웃고 있다.

나대로 저절로 살아가면서

그들은 한줌의 바람에도 일제히

자기 춤을 추고 자기 목소리로

지금을 노래한다.

하늘도 구름도 공중의 새 한 마리도

나의 마음

하늘의 뜻을 나타내는 상징

나를 읽어주는 한편의 시다.

                                         -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 나는 배웠다 / 샤를르 드 푸코 [1] file 구인회 2010.07.27 1359
262 시인의 말 [1] file 하늘꽃 2009.01.17 1360
261 눈물 [1] 물님 2011.12.22 1360
260 바람 잘 날 없어라 / 박노해 [1] file 구인회 2010.02.04 1361
259 바닷가에서 요새 2010.07.21 1361
258 최영미, 「선운사에서」 물님 2012.03.05 1361
257 추우니 함께 가자 - 박노해 물님 2016.02.02 1363
256 님의 침묵 [1] 물님 2009.05.29 1364
255 연애시집 - 김용택 [2] 물님 2010.10.29 1365
254 봄밤 - 권혁웅 물님 2012.09.20 1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