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tal : 2328556
  • Today : 1308
  • Yesterday : 1456


가온의 편지 / 가족이라면...

2014.06.05 22:04

가온 조회 수:5093


다운증후군 장애아의 부모들이 <우리 아이들이 만든 빵>이라고

아이들과 판매했을 때는 사는 사람이 없었는데

농산물을 재배하자 판매가 잘 되었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장애인이 만든 음식을 먹기가 꺼림칙한 때문이었겠지요.

 

장애인의 커피바리스타 교육을 위한 지원에 대해서 어떤 이는

예산낭비라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커피(coffee)'라는 고급음료를 즐기고 싶을 때

누가 장애인의 서비스를 원하겠느냐는 것이지요.

 

우리의 생각이 아무리 장애인 편에 있다 하더라도 일단 긍정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러한 생각들이 아직은 일반적인 통념이기 때문이지요.

 

장애인의 인식개선이란 바로 당연하게 여겨왔던

그 일반적인통념을 깨뜨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바라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진정한 통합사회는

벽이 무너지고, 이질감이 없어지면서 가족이 되어가는 것인데 그것이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는 건 장애를 가진 가족이 있는 사람은 알 것입니다.

 

식성이 까다로운 남편이 다른 사람보다 내가 만든 음식을 좋아하는 이유는

내가 장애인이기 전에 아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내가 남편을 위해 만든 음식이야말로 사랑과 정성으로 만들어진

가장 믿을 수 있는 음식이기 때문이지요.

 

누구보다도 깔끔하고 예민한 남편이 내가 먹던 음식을 거부감 없이 먹는 이유도

내가 장애인이기 전에 아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바로 여기에서 우리는 앞에서 말한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이

무너질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장애를 가진 것과 위생적인 문제가 별개인 것은

비장애인도 비위생적일 수 있는 것처럼 장애를 가졌어도 위생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역 초기에 장애를 가진 자매들을 보살필 때, 내 주방에 들어가는 이마다

건강한 자기네들보다 더 깔끔하다면서 입을 모았습니다.

 

불결한 것은 오물이 묻거나 씻지 않아서이지 장애인이라서 불결한 것은 아니지요.

 

가난했던 시절, 화장실이나 샤워시설이 열악하여 씻고 싶어도

마음대로 씻을 수 없었던 장애인의 삶은 차라리 형벌이었습니다.

그렇게 치열하게 살아온 이들을 불결한 존재로 함부로 매도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가 진정한 통합사회를 희망한다면 일반적인 통념들을 표준(standard)으로

착각하지 말 일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사회는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선입견에서 벗어나 우리 모두 가족이 될 수 있다면....

 

회당에서 가르치시니...이는 그 목수의 아들이 아니냐하고 예수를 배척한지라...’

-13:54-57-





img34D3_tmp.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1 천국독립군 물님 2014.07.14 5274
430 가온의 편지 / 행복한 달팽이 [2] file 가온 2014.07.13 4905
429 초청강연 물님 2014.07.12 4888
428 2014년 기독교 동광원 歸一 여름 수양회 물님 2014.07.12 4905
427 부패의 향기 [1] 물님 2014.07.01 4881
» 가온의 편지 / 가족이라면... [2] file 가온 2014.06.05 5093
425 흔들리지 않는 나라 물님 2014.06.05 5269
424 작은 뱀을 태우고 행군하라! 물님 2014.06.02 5150
423 보라 날이 이를지라 물님 2014.05.30 5035
422 지혜 있는 자는 물님 2014.05.26 5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