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제17편 [양화陽貨] "철인" l
2012.07.31 13:04
논어 제17편 [양화陽貨] 노나라 정공(定公) 5년, 노소공을 축출한 계평자가 죽고 계환자가 계승합니다. 이 어수선한 틈을 타 계씨의 가신 양화(虎)가 계환자를 가두고 실권을 잡습니다. 양화는 명분도 부족하고 불안정한 정권을 다지기 위하여 당시 명망가였던 공자 협력이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이를 눈치챈 공자는 양화에 대한 섭한 일도 있고 도시 그를 만나려 하지 않습니다. 양화는 꾀를 짜내 돼지 한 마리를 공자에게 예물로 보냅니다. 이방원이 정몽주를 떠보는 것처럼 공자의 의사를 타진하는 작업이었습니다. 공자는 그 당시 예법을 따라 이 양화가 없는 틈을 타서 사례를 하고 돌아 오는 길에 하필 이 양화와 마주치게 됩니다. 양화는 대뜸 "오시오 내가 그대에게 말좀 하리다. 그 보배로운 재능을 품 속에 품고 있으면서 나라를 어지럽게 버려두는 것을 인하다 할 수 있으며, 정치에 뜻을 두고 있으면서 자주 때를 잃는 것이 지혜롭다고 할 수 있느냐고 심사를 건드립니다. 그리고 "날은 지나가고 세월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고 폐부를 찌릅니다. 논어는 공자가 '벼슬살이를 하겠다'는 뜻을 전하고 물러났다고 합니다. 주석을 다는 이들은 이는 벼슬을 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거절의 뜻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공자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만 제가 보기엔 공자가 입장을 분명히 취한 것이라고 볼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후 계환자의 가신 공산불뉴가 비읍땅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공자를 초청하려 할 때 그는 공산불뉴에게 갈 뜻이 있었던 것입니다. "나를 부른 이가 아무 뜻 없이 불렀겠는가? 나를 등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내가 동주처럼 부흥시키리라" 만약 자로가 "갈 곳이 없으면 그만 둘일이지, 그렇게 갈 곳이 없어 공산씨에게 까지 가려고 하냐"고 완강히 말류 하지 않았더라면 진짜 공산불뉴에게 갔는 지 모릅니다. 실제 노정공 4년이면 공자 나이 46세, 5년 후인 노정공 9년 51세, 얼마 지나지 않아 노나라의 중도재로 시작해서 사공, 대사구를 거쳐 최고 벼슬인 대리시중을 맡게 되니 말입니다. "왕이 철인이 되든지 철인이 왕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가요 하여튼 공자 역시 벼슬에 대한 집념이 대단한 분이었습니다. 다만 그가 벼슬하고자 하는 뜻이 개인의 사리사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천명을 받들어 도의와 인륜이 바로 선 평화로운 세상을 이루기 위함이었다는 것이 그의 행적으로 볼 때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의 관직에 대한 선망과 도전에도 불구하고 뜻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역사의 흥망성쇠를 볼 때 어쩌면 공자가 관직에 이르지 못한 것이 잘 된 일인지 모릅니다. 설령 관직에 올라 한 나라를 바로 세우려 하고 또 그렇게 해서 성공한다고 해도 권력은 그를 가만두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돌이켜보니 파란만장한 공자의 인생에 있어 천명은 국가의 운영이나 정치가 아닌 사람의 마음을 바로 세우는 데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결국 비록 그가 나라의 정치를 바로 세우는 일에 대해서는 성공하지 못했더라도 공자는 우주의 이치를 섭렵하고 인류의 마음을 바로 세우는 일에는 크게 성공한 분이었으니 말입니다. "나는 이제 말을 멈추려고 한다. 스승님께서 말씀을 하지 않으시면 저희들이 후학들에게 무슨 말을 전하겠습니까?" 하늘이 무슨 말을 하는가? 사계절이 운행되면 온갖 사물이 변함 없이 생겨나니 하늘이 무슨 말을 하리오" 'sial 1. 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孔子時其亡也而往拜之러시니 遇諸塗하시다
好從事而亟失時 호종사이기실시 돼지를 보내주었다. 공자께서는 그가 없는 틈을 타서 그의 집에 가셔서 사의 (謝意)를 표명하셨는데, 돌아오는 길에 그를 만났다. 그가 공자께 "오시오, 내 선생께 말씀드리리다." 하고는 "자기의 보배를 품안에다 감춰 두고 자기 나라를 어지럽게 하는 것을 인(仁)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하였다. 공자께서 "그렇지 않습니다." 하셨다. "달은 지나가고 세월은 우리와 함께 머물러 주지 않습니다." 하고 말하니, 이번에는 "예, 나는 장차 벼슬을 하겠소이다." 子游對曰 昔者에 偃也 聞諸夫子하니 자유대왈 석자에 언야 문제부자하니 是也니 前言은 戱之耳니라 시야니 전언은 희지이니라 웃으면서 "닭을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겠는가." 자유가 대답하기를, "옛날에 선생님께서 '군자가 도를 배우면 사람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 쉽다' 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습니다." "제자들아! 언(자유)의 말이 옳다. 앞에서 한 말은 농담 삼아 한 것이다." 자로가 좋게 여기지 않으며 말했다. "갈 곳이 없으면 그만이지, 어찌 공산씨에게 가려 하십니까?" 공자가 말씀하셨다. "나를 부른 사람이 어찌 헛되이 불렀겠는가. 나를 등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내가 동주처럼 부흥시키리라." 수 있으면 인이 된다." 자장이 그 조목을 청해 물으니, 공자가 말씀하셨다. "공손함, 너그러움, 믿음, 민첩함, 은혜로움이다. 공손하면 업신여김을 받지 않고, 너그러우면 많은 사람을 얻게 되고, 믿음이 있으면 남들이 맡겨주고, 민첩하면 공로가 있고, 은혜로우면 사람 부리는 일이 어렵지 않다." 爲不善者어든 君子不入也라하시니 위불선자어든 군자불입야라하시니 不曰堅乎아 磨而不 이니라 不曰白乎아 불왈견호아 마이불린이니라 불왈백호아 '자기 자신이 친히 불선한 사람에게는 군자가 들어가지 않는다' 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필힐이 중모에서 배반을 하였는데 공자께서 가시 려고 하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그렇다.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단단하다고 하지 않겠는가, 갈아도 얇아지지 않으니 희다고 하지 않겠는가. 물 들여도 검어 지지 않으니, 내가 어찌 포과처럼, 한 곳에 매달려서 먹지도 못하는 것이겠는가." 것이고, 지혜를 존중해도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방탕해지고, 신의를 존중해도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남에게 쉽게 이용당해 마음에 상처를 입게되는 것이고, 정직하기만 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강박해지고, 용감하기만 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주의에 폐를 끼치게 되고, 강함을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이 무모해진다." 이며 邇之事父며 遠之事君이오 이지사부며 원지사군이오 인정과 풍속에 대한 관찰력을 항샹시킬 수 있으며, 공동작업에 위한 협동력을 익히고, 정의감을 기를 수 있다.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길 수 있으며, 멀리는 임금을 섬길 수 있으며 시의 새와 초목의 이름을 많이 알 수 있다." 소남을 배우지 않으면, 마치 담장을 맞대고 서 있는 것과 같다." 음악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이 종이나 북이 내는 소리를 말하는 것이겠는가?" 구멍을 뚫고 담을 넘는 좀 도둑일 것이다. " 患失之하시니 苟患失之면 無所不至矣니라 환실지하시니 구환실지면 무소불지의니라 얻어야겠다고 안달하고, 이미 얻고 나서는 잃을까봐 걱정한다. 잃을까봐 걱정이 되면, 저지르지 못하는 것이 없다." 直이러니 今之愚也는 詐而已矣로다 직이러니 금지우야는 사이이의로다 같다. 옛날의 광인은 자유분방하여 하고 싶은 말을 거리낌없이 했지만 요즘의 광인은 방탕하기만 하다. 옛날의 긍지 있는 사람은 바르고 위엄이 있었는데 지금의 긍지 있는 사람은 성을 내고 소란만 피운다. 옛날의 어리석은 사람은 솔직했으나 지금의 어리석은 사람은 겉으로만 정직하다." 하는 사람에게는 인덕을 찾아 볼 수 없다." 것을 미워하며, 그럴듯한 말이 나라를 뒤엎는 것을 미워한다." 저희들이 후학들에게 무슨 말을 전하겠습니까?" "하늘이 무슨 말을 하는가? 사계절이 운행되며 온갖 사물이 변함 없이 생겨나니 하늘이 무슨 말을 하리오." 심부름하는 사람이 문을 나가자, 거문고를 끌어당겨 노래를 하면서 그에게 거문고 소리가 들리게 하였다. 期可已矣로소이다 기가이의로소이다 예식을 시행하지 않으면 예식이 반드시 폐기되고, 삼 년 동안 음악을 하지 않으면 음악이 전해지지 않게 될 것입니다. 묶은 곡식이 다 할 무렵은 바로 새 곡식이 여무는 때 입니다. 불시를 뚫어 불을 피우는 것처럼 일년이면 모든 것이 바뀌는 것이니 일 년만 하면 좋지 않겠습니까." 편안하더냐?" 재아가 대답했다. "편안합니다" "네가 편하다면 그대로 하라." 음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으며, 거처하는 곳이 편안하지 않기 때문에 일 년 상을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네가 그렇게 해도 편안하다면 그렇게 하라." 자식이 태어나서 삼 년이 지난 뒤에야 부모의 품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부모를 위해 삼 년상을 치루는 것은 천하에 누구든지 바꿀 수 없는 공통된 상이다. 아마도 재아는 부모에게 삼 년의 사랑을 받지 못했나보다." 바둑이라는 게 있지 아니한가. 그런 것이라도 하는 게 아무 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小人이 有勇而無義면 爲盜니라 소인이 유용이무의면 위도니라 으로 생각하기를 바란다. 제군들이 용기만 있고 정의가 없으면 남들에게 폐를 끼칠 것이고, 못한 소인배들이 용기만 있고 정의가 없으면 도적이 된다." 者하며 惡勇而無禮者하며 자하며 악용이무례자하며 惡以爲直者하노이다 악알이위직자하노이다 자신이 못하는 것을 문제 삼지 않고 뛰어난 사람을 비방하는 사람을 미워하며, 용맹하지만 무례한 사람을 미워하며, 과감하지만 꽉 막힌 사람을 미워한다." "남의 공적을 훔쳐서 아는 체하는 사람을 미워하며, 오만한 것을 용맹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미워하며, 남의 결점을 들어내는 것을 가지고 솔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미워합니다." 끝나고 말 것이다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공자에게 불러준 광접여의 노래 | 물님 | 2021.11.02 | 3607 |
37 | 하느님이 계시느냐고 물으면 / 유영모 | 구인회 | 2012.10.09 | 2612 |
36 | 논어 제20편 [요왈堯曰] "중용"ㅣ | 구인회 | 2012.08.15 | 3035 |
35 | 논어 제19편 [자장子張] "성장"ㅣ | 구인회 | 2012.07.31 | 3265 |
34 | 논어 제18편 [미자微子] "인자"ㅣ | 구인회 | 2012.07.31 | 2826 |
» | 논어 제17편 [양화陽貨] "철인" l | 구인회 | 2012.07.31 | 3293 |
32 | 논어 제16편 [계씨季氏] "평화세상" l | 구인회 | 2012.07.31 | 2598 |
31 | 논어 제15편 [위령공衛靈公] "살신성인" l | 구인회 | 2012.07.31 | 3716 |
30 | 논어 제14편 [헌문憲問] "인재"ㅣ | 구인회 | 2012.07.31 | 3769 |
29 | 논어 제13편 [자로子路] "바름" | | 관리자 | 2012.07.27 | 3324 |
28 | 논어 제12편 [안연顔淵]"극기복례"| | 구인회 | 2012.07.26 | 4586 |